본문 바로가기
사소한 궁금증 알아보기

자동차 배터리 방전 시 대처 방법 및 시동 걸기

by 비지엠피아 BGMPIA 2025. 2. 20.
반응형

겨울철, 특히 추운 날씨에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특히 야외 주차를 한 후, 아침에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험을 했던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배터리 방전 문제는 겨울철에 특히 두드러지며, 자동차 보험사에도 긴급 출동 요청이 집중되는 시기입니다. 지난해 겨울, 최저 기온이 영하 10도까지 내려갔을 때 보험사의 하루 긴급 출동 건수가 평소의 2배인 7~8만 건에 달했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배터리가 방전되어 시동이 안 걸리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미리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자동차 배터리 방전의 원인

겨울철 자동차 배터리 방전의 가장 큰 원인은 기온이 낮아져 배터리 내부의 전해액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전기 흐름을 방해하여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게 만듭니다. 특히 추운 날씨에 배터리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배터리 방전 사고가 자주 발생합니다. 또한, 블랙박스를 계속 켜두거나, 오래된 배터리, 연료의 어는 온도도 배터리 방전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배터리 방전 시 대처 방법

1) 배터리 점프

  • 점프할 차량의 시동을 끈다.
  • 점퍼 케이블의 빨간색(+) 클립을 방전된 차량 배터리의 (+) 단자에 연결한다.
  • 반대쪽 빨간색(+) 클립을 정상 차량의 (+) 단자에 연결한다.
  • 점퍼 케이블의 검은색(-) 클립을 정상 차량의 (-) 단자에 연결한다.
  • 나머지 검은색(-) 클립을 방전된 차량의 엔진 금속 부분에 연결한다.
  • 정상 차량의 시동을 걸고 1~2분 동안 유지한 후, 방전된 차량의 시동을 걸어본다.
  • 시동이 걸리면 점퍼 케이블을 연결한 순서의 반대로 제거한다.
  • 주의 사항: 점퍼 케이블을 연결할 때, 올바른 순서로 연결해야 하며, 클립이 서로 닿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또한, 시동이 걸린 후에는 20~30분 정도 운전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보험사의 긴급출동 서비스 이용

만약 점프할 차량이나 점퍼 케이블이 없다면, 보험사의 긴급출동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보험사는 연 1~2회 무료로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서비스 횟수를 초과하면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니, 이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3) 배터리 부스터 이용

배터리 부스터는 휴대용 점프 스타터로, 다른 차량이 없이도 스스로 시동을 걸 수 있는 장비입니다. 이 장비를 사용하면 차량에 보관하기도 쉽고, 긴급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부스터를 사용하려면, 빨간색(+) 단자를 배터리의 (+) 단자에 연결하고, 검은색(-) 단자를 차량 금속 부분에 연결한 후 부스터 전원을 켜고 1~2분 대기한 뒤 시동을 걸면 됩니다.

 

 

 

 

 

 

자동차 배터리 방전 예방 방법

겨울철 배터리 방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방법을 실천하는 것이 좋습니다. 첫 번째로, 차량을 장기 주차할 경우 하루에 한 번 정도 시동을 걸어 배터리를 충전해주는 것이 유익합니다. 또한, 블랙박스를 사용하는 경우 저전압 차단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기능이 없다면 전원을 꺼두는 것이 좋습니다.

 

배터리 수명이 3년 이상 지난 차량은 점검 후 교체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두 번째로, 겨울철에는 실내 주차를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러나 불가피하게 실외 주차를 해야 할 경우, 차량의 앞쪽을 해가 뜨는 방향으로 향하게 주차하면 엔진 쪽이 더 빨리 따뜻해지기 때문에 시동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 자동차의 연료가 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경유와 LPG는 영하 18도에서 얼기 시작하므로, 겨울철에는 연료가 얼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동차 배터리 점검과 교체

배터리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성능이 저하되므로, 3년 이상 된 배터리는 교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가 오래되었을 경우, 점검을 받거나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터리 점검을 통해 겨울철 시동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 차량 관리를 통해 배터리 방전을 예방하고, 시동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주기적인 차량 점검을 통해 배터리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 시 교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추운 날씨에 차가 오래 주차될 경우, 배터리 충전이 잘 되도록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결론적으로, 겨울철 배터리 방전 문제는 미리 예방하고 대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경우, 점프 스타트나 배터리 부스터를 이용해 시동을 걸 수 있으며, 보험사의 긴급출동 서비스를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배터리 관리와 예방적인 점검을 통해 겨울철 차량의 배터리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