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759 탈모 생기는 원인 / 탈모에 좋은 음식 3가지 탈모, 왜 생기는 걸까? 탈모란, 모발이 정상적으로 있어야할 부위에 머리카락이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을 보통 '탈모'라고 하죠. 놀랍게도 하루에 약 50~70개까지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은 정상적인 현상이라고 해요. 생각보다 많은 숫자의 머리카락이 빠져나가고 있었네요 T_T 그러나 위 정상적인 범위에서 벗어나, 하루에 머리카락이 빠지는 갯수가 100개 이상이 넘었을 경우엔?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탈모의 원인은 너무나 다양하지만, 보통 호르몬의 이유라든지 과도한 스트레스의 영향일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요 :) 스트레스가 쌓이면 두피의 혈관이 수축되어 탈모가 될 수 있으며, 과도한 흡연을 할 경우에도 탈모가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해요! 안타깝게도 이미 시.. 2021. 2. 18. '무난하다'과 '문안하다', 자주 틀리는 맞춤법! 올바른 사용법 알아보기 무난한 스타일이다." 위의 표현에서 '무난하다.' '문안하다' 어떤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올바른 맞춤법이 헷갈리셨다고요? 여담이지만... 저는 메신저 대화에서나 메일 서신에서 이 표현을 틀리는 분들을 제일 많이 봤던 것 같아요. 그정도로 많이들 헷갈리는 표현! 비슷하지만 둘 중 하나는 올바르지 않은 맞춤법! 헷갈리셨다면? 같이 공부해 보아요 :) 위 표현에서 정확한 맞춤법은 "무난한 스타일이다."가 맞습니다. 아무래도 발음이 거의 비슷하여, 혼동이 있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사실 뜻을 알고나면 차이를 구분하기 어렵지 않은 단어들이랍니다. 그렇다면 '무난하다.'와 '문안하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무난하다: 별로 어려움이 없다, 이렇다 할 단점이나 흠잡을 만한 것이 없다. 성격 따위가 까다.. 2021. 2. 17. '어이없다'과 '어의없다', 자주 틀리는 맞춤법! 올바른 사용법 알아보기 어이가 없네...? 어의? 어이? 유명한 영화 대사 중 하나로, 아직까지도 회자되는 영화 대사 중 하나이죠. 그런데 어의, 어이..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틀리시더라구요! 올바른 맞춤법이 헷갈리셨다고요? 비슷하지만 둘 중 하나는 올바르지 않은 맞춤법! 헷갈리셨다면? 같이 공부해 보아요 :) 정확한 맞춤법은 "어이없다."가 맞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어이없다는 '일이 너무 뜻밖이어서 기가 막히는 듯하다.'는 의미입니다. 놀랍다, 어처구니 없다가 유의어랍니다. '어이없다'의 어원은 '어히없다'로 2음절의 ㅎ이 탈락하면서 현재 사용하는 '어이없다'로 변모되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어의없다'는 어떤 의미일까요? 삑---- 잘못된 표현입니다! *어의: 임금의 옷, 대궐에서 임금을 치료하는 의원 즉, '.. 2021. 2. 16. 2021년은 신축년 소띠 해, 2022년은 무슨 띠? 올 2021년 신축년은 흰 소띠의 해입니다. '상서로운 기운이 물씬 일어나는 해'라고 하네요 :) 복이 되고 좋은 일이 일어날 조짐이 있다는 뜻으로, 정말 말 그대로 좋은 일들이 많이 일어났으면 좋겠네요! 십이지신에 따라 한 해를 상징하는 동물이 결정되는데요! 子(자) 丑(축) 寅(인) 卯(묘) 辰(진) 巳(사) 午(오) 未(미) 申(신) 酉(유) 戌(술) 亥(해) 위 순으로 땅을 지키는 12가지 동물이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子(자) 丑(축) 寅(인) 卯(묘) 辰(진) 巳(사) 午(오) 未(미) 申(신) 酉(유) 戌(술) 亥(해) - 갑, 을 : 파랑 - 병, 정 : 빨강 - 무, 기 : 노랑 - 경, 신 : 하양 - 임, 계 : 검정 또한 그 해의 띠 색은 하늘의 이치를 담았다는 위의 십간에 의해 .. 2021. 2. 15. 직계가족의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사소한 궁금증! 오늘 전해진 따끈따끈한 코로나 19 정부 대응 정책이죠! 2021년 2월 15일(월) 부터는 코로나 방역대응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5단계로 하향 조정된다고 합니다. 식당, 카페, 스포츠 시설 등 다중 이용 시설의 영업 제한이 오후 10시까지로, 기존 9시에서 1시간이 연장됩니다. 다만 아직 유행 단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판단 하에,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 조치는 유지하기로 했다고 하네요. 또한 이전과 달리! 직계가족에 대해서는 동거가족이 아니더라도 5인 이상 모임이 가능하다는 것이 달라진 점 중 하나네요. 여기서 잠깐! 직계가족의 범위, 알고 계신가요? * 직계가족의 정의: 바로 직, 이어질 계로 이루어진 한자어로, '친자 관계에 의해 혈연이 직접적으로 이어진 계통'을.. 2021. 2. 14. '며칠'과 '몇일', 자주 틀리는 맞춤법! 올바른 사용법 알아보기 오늘이 며칠이지? 몇일이지? 음... 어떤게 맞는 표현이지? 며칠? 몇일? 며칠동안?? 몇일동안?? 비슷하지만 둘 중 하나는 올바르지 않은 맞춤법! 헷갈리셨다면? 같이 공부해 보아요 :) 정확한 맞춤법은 "며칠", "며칠 동안"이 맞습니다. * '며칠' : 달의 몇째 되는 날. 한글맞춤법 4장 제 27항 붙임 2를 참고하시면, "둘 이상의 단어가 어울리거나 접두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말은 각각 그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그러나 "어원이 분명하지 아니한 것은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며칠'의 경우, '몇 + 일'로 생각하시어 '몇일'이라고 생각하시기 쉬우나 이전부터 정확히 둘 이상의 단어가 어울리거나 접두사가 붙은 단어는 아니기에, 원형을 밝히지 않고 소리나는대로 적는 것입.. 2021. 2. 13. 이전 1 ··· 123 124 125 126 12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