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4대 명절 중 하나인 단오의 날! 단오음식, 단오풍속, 단 옷날짜, 수릿날 속담 등 단오의 모든 것을 알아봅시다.
단오란?
단오의 한자는 단(端)과 오일(午)이며 특이하게도 여기서 단오는 오오(五)와 같은 뜻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단오의 의미는 처음 5일, 즉 처음 5일입니다. 따라서 단오절은 음력 5월 5일인데 이 경우 중국에서 가장 번창하는 1년 단오절과 양양절은 설날만큼 큰 명절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단오 수릿날
그런데 수릿날에 대해 들어 보셨습니까? 수릿날은 단오의 한국어 단어인데 그렇다면 왜 단오를 수릿날이라고 부르는 것인지 궁금하지 않을 수가 없는데, 수릿날의 의미와 단오의 유래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1. 단오에 쑥으로 수레 모양의 떡을 만들거나 수리취 약초로 떡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2. 단오는 해가 정수리에 들어오는 날이므로 '수리'는 정수리에서 파생됩니다.
3. 수리리=수레=높다, 신을 의미하므로 신을 모시는 날을 의미합니다.
단옷날 풍습
1) 제사 지내기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단옷날은 1년 중 가장 성스럽고 길한 날입니다. 그러므로 이 명절에 제사를 지내야 덕을 누릴 수 있다고 하여 단오제를 의무화하여 제사를 지냈다고 합니다.
2) 창포물 머리 감기
단오의 대표적인 풍습은 창포수로 머리를 감는 것입니다. 창포는 우리나라의 호수나 연못 등 습지에서 자라는 식물이며 창포는 예로부터 액운을 몰아내고 행운을 불러온다고 알려져 있기도 합니다. 또한 창포의 탄닌은 모발에 좋은 영향을 미치며 머릿결을 부드럽게 해 주고 건강하게 만들어주기 때문에 창포수로 머리를 감는 것이 단오의 풍습이었다. 사실 과거에는 지금과 달리 목욕을 매일 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특히 평범한 사람들은 단오와 같은 특별한 날에만 목욕을 하였습니다.
3) 씨름
농사는 우리 조상들의 생계를 책임지는 일이었습니다. 이 농경 사회에서는 힘이 가장 중요했기 때문에 힘겨루기 시합을 많이 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씨름입니다. 특히 흥과 힘이 넘쳤고 가장 강했던 날인 단오씨름은 특히 우리 선조들에게 큰 의미였습니다.
4) 그네뛰기
이 시대에 여성들은 자유롭게 외출할 수 없었으며, 말이나 행동으로 원하는 것을 하기가 어려우나, 단오절 기간에는 밖에서 그네를 탈 수 있다고 하니 그네는 여성들에게 약간의 일탈로 삼는 필수적인 민속놀이였습니다.
5) 부채 만들기
항상 이맘때쯤이면 날씨가 정말 더워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비해 여름을 나기 위해 팬들을 선물로 주고받는 풍습이 있었고 이 부채를 단오선 또는 저선이라고 불렀으며 종들이 빚을 받아 친척들에게 나눠주는 풍습에서 유래했다고 겁나더,
6) 수리취 떡
수리취떡은 찹쌀가루에 수리취나 쑥을 넣어 만든 조각떡입니다. 이맘때가 제철인 수리취나물과 쑥을 반죽하여 반죽하여 만든 수레 모양의 조각이라 바퀴 달린 병, 사랑병이라고도 하며 또한 쑥떡과 수리취떡에는 액막이의 염원이 담겨 있다고 합니다.
7) 봉선화 물들이기
붉은색은 좋은 기운을 상징할 뿐만 아니라 악귀를 쫓는 상징도 가지고 있어 이때는 발삼을 염색하거나 양면에 루주를 바르는 등 붉은색이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사소한 궁금증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몬밤 효능 및 부작용 (0) | 2023.06.23 |
---|---|
환경호르몬 배출방법 알아보기 (0) | 2023.06.22 |
난독증 증상 및 뜻 바로알기 (0) | 2023.06.20 |
탈모 예방에 도움이 되는 음식 (0) | 2023.06.18 |
비파 효능 및 먹는 방법 (0) | 2023.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