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소한 궁금증 알아보기

현충일 뜻과 의미, 조기 게양 방법

by 비지엠피아 BGMPIA 2023. 6. 1.
반응형

어느새 5월도 지나가고 6월에 접어들었습니다. 며칠뒤면 국경일인 6월 6일 현충일이 다가오는데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서 현충일 뜻과 의미, 그리고 조기 게양 방법까지는 당연히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므로 여러분께도 해당 내용을 함께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현충일의 공휴일은 매년 6월 6일입니다. 이날은 순국하신 넋을 기리고 숭고한 애국정신을 기리는 행사가 있습니다. 추모는 또한 전쟁에서 목숨을 잃은 애국 순교자와 군인들의 영웅적인 업적을 인정하여 조기 모금도 실시하고 있습니다. 모든 국가는 중요한 전쟁을 치러야 존재하며, 모든 국가는 전쟁에서 목숨을 잃은 사람들을 추모하는 행사를 개최합니다. 한국은 1948년 8월 정부수립 이후 2년이 채 되지 않아 한국전쟁을 겪게 되었는데 이 전쟁으로 40만 명이 넘는 국군이 사망하고 100만 명에 이르는 민간인이 죽거나 다치는 씻을 수 없는 상처도 가지고 있습니다.

 

 

 

반응형

 

 

 

 

1953년 휴전협정이 체결되고 3년이 지나 상황이 어느 정도 안정되자 정부는 1956년 4월 대통령령 제1호를 통해 공무휴일을 변경하였습니다. 그러나 1975년 12월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변경되어 공휴일의 휴무일로 현충일이 정식 도입되었다고 합니다.

 

 

 

 

 

 

 

추모행사는 국가보훈처가 주관하는 서울 국립현충원에서 열립니다. 추모식의 범위는 한국전쟁에서 목숨을 잃은 대한민국 국군에 국한되지 않고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해 궁극적인 희생을 하신 모든 분들을 기리는 데까지 확장됩니다. 제3조 제1항에 따르면 이 나라의 5대 명절은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국군의 날 및 정부가 지정한 국경일입니다.

 

 

 

 

 

 

 

국경일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명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에는 4개의 법정 공휴일이 있습니다.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입니다. 또한 각종 기념일에 관한 규정 제2조에는 국경일로 인정되는 기념일을 현충일과 국군의 날 두 가지로 명시하고 있으며 국기는 국가 애도 기간, 정부가 지정한 날, 정부 청사, 공공 기관, 학교 및 군대에 대한 지방 의회의 조례 또는 의결에 따라 일 년 내내 게양됩니다.

 

 

 

 

 

 

 

태극기는 매일 게양할 수 있지만 밤에는 제대로 밝혀야 합니다. 또한 교육기관과 군사시설은 매일 오전 7시에 시작하여 오후 6시에 태극기를 게양하도록 의무화되어 있다. 3월부터 10월까지, 오후 5시. 11월부터 2월까지. 큰 비나 바람이 불면 피해를 막기 위해 태극기를 게양하지 않습니다.

 

 

 

 

 

 

 

국권이 불확실한 시기에 우리 국민은 국권회복을 위한 운동을 벌였습니다. 일제강점기 내내 독립과 자주독립운동은 끊임없이 추진되었고 1919년 3월 1일 독립선언서가 선포되고 조선이 독립국가로 선포되어 민족이 독립된 시민이 된 주목할 만한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반응형

'사소한 궁금증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디 효능 및 섭취방법  (0) 2023.06.03
수박 효능 및 부작용  (0) 2023.06.02
장마철 자동차 침수대비  (0) 2023.05.31
워라밸 뜻 알아보기  (0) 2023.05.30
상추 효능 및 영양성분  (0) 2023.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