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소한 궁금증 알아보기

갑상선 기능 유지, 요오드 역할과 주의사항은?

by 비지엠피아 BGMPIA 2021. 6. 7.
반응형

요오드는 우리 몸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서 필수적인 영양소이며 신경 발달, 에너지 생성, 갑상선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 요오드는 갑상선 호르몬을 구성하는 주 성분으로 갑상선 호르몬 분자량의 60%를 차지하며, 우리 몸은 15~20mg의 요오드를 축적하고, 이중 70~80%가 갑상선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요오드는 보통 식품으로 섭취가 되는데 동/식물에는 소량이 존재하는 반면 어류나 해초류 등에는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습니다. 섭취된 요오드는 위와 소장 상부에서 대부분 흡수되어 갑상선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출처: 픽사베이


우리나라 사람들은 평균 요오드 섭취량이 하루 권장량보다 많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갑상선에서 요오드는 갑상선 호르몬 합성에 필요한 정도만 사용되고, 나머지는 대부분 소변으로 배설됩니다. 정상적인 갑상선은 자동조절능력이 있어, 요오드 섭취량에 따라 갑상선 호르몬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갑상선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자동조절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므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요오드가 부족하면 갑상선 기능저하증이나 인지기능 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요오드를 과잉 섭취하게 될 시, 피부발진증과 침샘염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나 저하증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출처: 픽사베이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앞서 언급했듯이 요오드 과잉 섭취 지역으로 분류되는 국가 중 하나로, 김이나 미역을 자주 먹는 편이며 멸치나 다시마를 국물 재료로 사용하며 천일염을 사용한 김치, 젓갈, 된장, 간장 같은 장류를 섭취하기 때문에 요오드가 과잉 섭취 될 수 밖에 없는 식습관을 가지고 있는 나라입니다. 세계보건기구에서 권장하는 요오드 섭취 적정량은 일반 성인의 경우 하루 150μg 입니다. 김 1장에는 72㎍, 미역국 1그릇에는 780㎍, 다시마 5㎝에는 8000㎍ 이상이나 포함되어 있으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과잉 섭취가 될 수 밖엔 없겠네요!

출처: 픽사베이


그렇다면 요오드가 많이 함유된 식품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다시마, 김, 미역과 같은 해조류에 요오드의 함유량이 가장 높습니다. 뿐만 아니라 정제하지 않은 천일염과 이를 다량 함유하는 장류, 장아찌 등의 염장 식품, 젓갈류 등도 높은 요오드 함유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대부분의 해산물, 생선, 조개, 해초 등과 이를 가공한 식료품에도 요오드가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출처: 픽사베이


식품 외에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약물들, 비타민제, 방사선 조영 촬영제 등에도 요오드가 함유되있을 수 있어 과거 갑상선 질환 병력이 있으셨던 분들은 약제 섭취 전 전문가와의 상담이 꼭 필요하다고 하오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