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세먼지란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물질인 먼지 중 다음의 흡입성먼지를 말합니다. 먼지는 입자 크기에 따라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로 나뉘는데, 미세먼지는 입자의 지름이 10마이크로미터(㎛) 이하인 먼지(PM-10)를 말하며, 초미세먼지는 입자의 지름이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인 먼지(PM-2.5)를 말합니다.
미세먼지와 황사를 동일한 것으로 알고 계시는 분들도 계신데요! 환경부 기준, 미세먼지는 아주 작은 크기의 모든 오염 물질을 말하며, 그 중 중국이나 몽골의 사막지역에서 발생한 흙먼지를 황사라고 합니다. 봄에 주로 나타나는 황사는 주요 성분이 칼슘이나 규소 등 토양성분이며,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황사 입자의 크기는 약 5~8㎛입니다.
미세먼지는 특히 봄에 유독 심해지는 경향이 있는데요. 이는 우리나라는 겨울과 봄에는 편서풍이 불고, 여름에는 남동풍이 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편서풍이 부는 겨울과 봄에 중국발 미세먼지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입니다. 이와 더불어 3~5월인 봄에는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황사까지 겹쳐지면서 대기 상황이 악화됩니다.
미세먼지는 산불이나 황사 등을 통해 자연적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석유 /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를 태우거나 자동차 매연가스에서 나오는 대기 오염 물질에서 유발되기도 합니다.
먼지는 코털이나 기관지 점막에서 걸러져 배출되나, 입자가 작은 미세먼지는 코, 구강, 기관지에서 걸러지지 않고 우리 몸 속까지 들어갈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특히 초미세먼지의 경우, 호흡기의 가장 깊은 곳까지 침투해 혈액에 흡수될 수 있어 더욱 위험합니다. 미세먼지의 입자에는 보통 금속, 질산염, 황산염, 매연 등이 포함되며 이에 포함된 중금속, 질소화합물, 황화합물 등이 체내에서 산화스트레스를 일으켜 각종 질환들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에 급성 노출되면 기침과 호흡 곤란이 발생할 수 있으며, 천식이 악화되거나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장기간 만성 노출 시에는 폐기능이 악화될 수 있으며, 만성 기관지염이 증가되어 사망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특히 심장이나 폐질환 등이 있는 기저질환자, 유아와 노년층, 임산부는 미세먼지 노출에 의한 영향이 더 크며, 일반적인 성인의 경우도 미세먼지의 높은 농도에 노출되게 되면 호흡계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가 많은 날 지켜야 할 건강수칙은?
- 실외활동을 최대한 자제하고 실내에서 생활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외출시에는 미세먼지가 차단되는 마스크를 꼭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외출 후에는 손, 발, 얼굴 등을 깨끗이 씻는 것이 좋습니다.
- 과일, 채소는 꼭 씻어먹고 충분하게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환기를 금하고 외부의 미세먼지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사소한 궁금증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복에 섭취 금지! 공복에 먹으면 해로운 음식은 무엇? (0) | 2021.04.01 |
---|---|
불면증 원인 및 도움되는 식품 알아보기 (0) | 2021.03.31 |
갱년기 남성에게 도움이 되는 식품은? (0) | 2021.03.29 |
갱년기 여성에게 도움이 되는 식품은? (0) | 2021.03.28 |
20~30대 추천 영양제, 비타민 B의 효능은? (0) | 2021.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