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출 후 피부가 자꾸 따갑고 간지러운 증상이 있으시다면? 자외선 지수가 높아지면서 이로 인한 햇빛 알레르기 증상일 수도 있습니다. 여름철 특히 쉽게 발생하곤 하는 햇빛 알레르기에 대해 소개 드립니다.
햇빛 알레르기는 광과민질환으로 봄과 여름철 자외선 지수가 높아지고 강한 햇빛이 이어지면서 피부가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는 알레르기 질환입니다. 햇빛 알레르기는 태양광선 노출 후 피부에 가려움이나 발진이 나타나는 질환이며, 이 외에도 홍반, 따가움, 진물, 출혈, 돌기, 딱지와 출혈, 물집이 생길 수 있습니다. 드물지만 두통이나 오한 같은 전신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들 증상은 보통 목, 손등, 팔 바깥쪽, 다리에 발생하나, 심한 경우 옷으로 가려지는 부위도 영향 받을 수 있습니다.
주로 햇빛이 강해지는 여름, 봄에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가을이나 겨울에는 증상이 약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증상이 발생할 경우 대부분이 햇빛 때문이라고 생각하며 가볍게 넘기지만, 알레르기 종류에 따라 심한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어 자외선 지수가 강한 여름철엔 간과할 수 없는 질병 중 하나라고 하네요. 햇빛에 노출된 피부에서 1차적으로 반응을 보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노출되지 않은 부분으로 번지기도 하며, 수 시간 이내 피부가 정상으로 돌아오지 않는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햇빛 알레르기는 왜 발생하는걸까요? 발생 원인은? 햇빛 알레르기는 자외선 UVA와 UVB, 드물게는 가시광선 등의 태양 광선이 알레르기의 주 원인이 된다는 것 외에는 아직 원인이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은 질환입니다. 가장 큰 원인으로는 강한 자외선 노출로 인해 체내에 면역 체계가 이를 이물질 유입으로 인식하여 각종 방어 체계를 작동시키고 이에 대한 과민 반응으로 다양한 알레르기 증상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이외에도 유전적인 원인(가족력), 면역력의 약화 등을 원인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코로나 19로 인해 야외활동이 줄어들면서 햇빛에 대한 내성이 약해져 햇빛 알레르기를 앓는 사람들이 증가하였으며, 원인은 분명하지는 않으나 햇빛 노출에 대한 빈도가 높고 피부 상태가 건강하지 않을수록 알레르기 발생 확률이 높은 것은 분명하다고 하니... 햇빛 알레르기 증상이 있는 사람이라면 태양이 뜨겁게 내리쬐는 10~16시 사이에 외출을 피하고, 선글라스와 모자, 긴팔 옷, 자외선 차단제로 피부를 보호해는 예방책을 활용하는 것이 좋겠죠! 또한 외출 전 반드시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주는 습관을 들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일상 생활에서는 SPF 15 정도면 충분하나, 장시간의 야외활동이나 운동을 할 경우에는 SPF 30이상의 제품이 권장됩니다. 또한 자외선 차단제는 야외활동 20~30분 전에 바르도록 하며, 2~3시간이 지나면 다시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사소한 궁금증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작된 여름 장마철, 주의해야할 질환은? (0) | 2021.05.28 |
---|---|
피부 두피가 가려운 지루성 피부염 원인, 증상, 치료방법 (0) | 2021.05.27 |
하얀 쌀밥 대신 잡곡밥을 섭취해야하는 이유는? (0) | 2021.05.25 |
채소만 먹는 것이 채식주의? 채식주의자 종류 알아보기 (0) | 2021.05.24 |
설탕을 대신할 수 있는 천연감미료는? (0) | 2021.05.23 |